반응형

리눅스등에서 ll 커맨드를 통해 디렉토리 리스트등을 자주 보곤 했는데, 새로 생성한 계정에서 ll이 동작하지 않았다.

 

아래 커맨드를 입력 후 정상동작하는걸 볼 수 있었다.

$ alias ll="ls -al"

 

반응형
반응형

CentOS 8에서 mysql 5.5.40 버전을 설치 하고 싶었지만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지 않아 5.7로 설치 후 정상 동작하는 모습을 확인했습니다.

 

Mysql 특정 버전 설치하기(5.7.28)

먼저 진행하시는 계정에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

CentOS에서 yum install을 통해 설치하시면 mysql 8.0이 설치됩니다. 별도로 다운로드 후 진행하셔야합니다.

mysql archive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URL : https://downloads.mysql.com/archives/community/downloads.mysql.com/archive

 

MySQL :: Download MySQL Community Server (Archived Versions)

Please note that these are old versions. New releases will have recent bug fixes and features! To download the latest release of MySQL Community Server, please visit MySQL Downloads. MySQL open source software is provided under the GPL License.

downloads.mysql.com

원하는 mysql버전과 OS를 맞춰줍니다. CentOS이므로 Red Hat 계열로 선택해주시고, 5 버전대에는 Red Hat 8이 없으니 7로 받아주시면 됩니다.

 

1. 이후 Download 버튼에 우 클릭 후 주소를 복사하고 wget을 통해 바로 받아줍니다.

 wget https://downloads.mysql.com/archives/get/p/23/file/mysql-5.7.28-1.el7.x86_64.rpm-bundle.tar 

 

 

2.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압축해제합니다.

 tar -xvf mysql-5.7.28-1.el7.x86_64.rpm-bundle.tar 

 

 

3. yum을 통해 설치를 합니다.

설치 순서에 따라 하나씩 설치해도 되지만, yum을 사용하면 의존성 설치가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명령어를 통해 쉽게 처리합니다.

 sudo yum localinstall mysql-community-*

y를 입력하고 설치를 계속합니다.

 

 

4. mysql 설정하기

/etc/my.cnf에 설정파일이 생겼을텐데, 옵션 적용을 위해 재기동을 해야하므로 구동 전에 미리 설정을 합니다.

(필요할때 하셔도 되므로, 스킵하셔도 좋습니다.)

 sudo vim /etc/my.cnf 

max_allowed_packet=16M                     # 패킷 제한 증가
log_bin_trust_function_creators=1          # 함수 생성 및 수정 허용
lower_case_table_names=1                   # 대소문자 구분안함
sql-mode = "NO_ENGINE_SUBSTITUTION"        # 5.7부터 생긴 옵션으로 엄격모드 사용안함

저는 5.5버전에서 사용하던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해야해서 기존 옵션들을 추가하였습니다.

[mysqld] 아래에 추가했습니다.

 

 

5. 구동하기

설정을 끝났으면 서비스를 올려보겠습니다.

 sudo systemctl start mysqld 

 sudo systemctl status mysqld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6. mysql 접속하기(root 설정)

처음 계정 생성 및 권한 등을 주기 위해 mysql -u root를 입력해보시면 접근되지 않을텐데 설정이 필요합니다.

 

설정을 위해 서비스를 다시 내립니다.

 sudo systemctl stop mysqld

 

무제약 모드로 구동하기 위해 옵션을 입력합니다.

 sudo systemctl set-environment MYSQLD_OPTS="--skip-grant-tables" 

 

다시 mysql을 구동합니다.

 sudo systemctl start mysqld 

 

이제 접근이 가능해졌습니다. 접근하여 계정 생성과 root 비밀번호 설정등을 진행합니다.

먼저 갱신을 하고 쿼리를 수행합니다.

 flush privileges; 

 

root는 해당 서버에 직접 접근하여 입력한 비밀번호로만 접근 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습니다.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BY '임시비밀번호'; 

 

저는 계정을 하나 추가하고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권한 설정을 하였습니다.

 create user '유저이름'@'%' identified by '유저비밀번호'; 

 grant all privileges on 데이터베이스명.* to '유저이름'@'%';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flush privileges; 

 exit 

 

 

설정을 맞치고 mysql을 빠져나오면 서비스를 다시 종료하고

무제약 모드를 설정 후 서비스를 기동합니다.

 sudo systemctl stop mysqld 

 sudo systemctl unset-environment MYSQLD_OPTS 

 sudo systemctl start mysqld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mysql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출처 : sparkdia.tistory.com/11emctl unset-environment MYSQLD_OPTS

 

 

반응형
반응형

Mysql 설치하기

 

- wget설치 

 yum install wget 

wget을 통해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설치가 되어있다면 넘어간다.

 

 

- mysql 다운로드

 sudo wget https://dev.mysql.com/get/mysql57-community-release-el7-11.noarch.rpm 

 

- mysql 설치

 sudo rpm -ivh mysql57-community-release-el7-11.noarch.rpm 

 

- mysql server 설치

 sudo yum -y install mysql-server 

 

 

- 서비스 올리기

 sudo systemctl start mysqld 

 

 

 

- 설치된 mysql 버전 확인

 mysql --version 

 

 

계정 생성 및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 mysql 접속

 mysql -u root 

 

 

- 계정 생성

 create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 권한 설정

 grant all privileges on 권한 줄 데이터베이스.권한 줄 테이블 to '계정'@'계정범위'; 

ex) grant all privileges on *.* to 'test'@'%';

 

 

- 데이터베이스 생성(UTF8)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 갱신하기

 flush privileges; 

반응형
반응형

-파일 복사하기

cp 복사될파일 파일경로+파일명
ex) cp file1 /usr/local/server/file1

 

-파일 삭제하기

rm -r fileName

 

-파일 이동하기

mv 파일명 이동장소+파일명
ex) mv file1 /usr/local/file1

 

-파일 이름 바꾸기

mv 파일명 바꿀이름
#mv file1 test1

 

-tar 압축풀기

tar -xvf 압축명.tar

 

 

 

 

현재 경로 확인하기

pwd

 

접속 정보(로그인 계정 정보)

who am i

 

- IP확인하기

ifconfig

 

- 서버 날짜 시간 확인

date

 

-CMOS 시간확인

clock -r

 

-서버 메모리 보기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사용 중인 포트 확인하기

netstat -tnlp

 

-동작 중인 프로세스 확인(PID까지 확인)

ps -efc | grep 프로세스명

 

-PID를 통한 프로세스 강제 종료

kill -9 PID값

 

 

-로그파일 등 실시간 출력 확인하기

tail -f 파일명

 

 

-소유권 변경

chown 소유권자:그룹식별자 디렉토리명
ex)  chwon abc:abc tomcat/

 

-하위 디렉토리까지 소유권 변경

chown -R 소유권자:그룹식별자 디렉토리명/

 

 

-http 등 통신 테스트

curl 주소

 

-서버 즉시 종료

shutdown -h now

 

-서버 재부팅

shutdown -r

 

반응형
반응형

CentOS에서 git설치하기

yum install git   #root인경우
sudo yum install git

 

root 계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중략...)

 

설치 후 버전확인

git --version

 

반응형
반응형

우분투 톰캣 설치하기

먼저 설치할 톰캣을 다운로드 합니다.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불러오는 중입니다...

 

8.5 tar.gz으로 다운로드합니다.

 

저는 톰캣 8.5로 진행하겠습니다.

 

8.5 tar버전을 다운로드 후 putty를 통해 우분투 서버에 SSH접속을 합니다.

 

1. 톰캣을 설치할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원하는 디렉토리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 sudo mkdir 원하는 디렉토리

ex) $ sudo mkdir /home/psw/tomcat

 

2. ftp를 활용하여 tar파일을 옮겨줍니다. 서버에 존재한다면 mv명령어를 사용해 생성한 디렉토리로 옮겨줍니다.

저는 파일질라를 사용했습니다.

파일질라를 활용한 tar파일 이동

 

3. tar 압축파일을 풀어줍니다.

$ sudo tar xvf apache-tomcat-8.5.51.tar.gz

4번부터는 선택사항입니다. 풀린 디렉토리의 webapps에 war파일을 넣고 bin파일에서 서비스를 기동하시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4. 풀린 디렉토리명을 편한 방식으로 변경합니다.

$ sudo mv apache-tomcat-8.5.51 tomcat-8.5

저는 tomcat-8.5로 변경했습니다.

 

5. conf/server.xml을 열어 어플리케이션(war파일)이 바라볼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xml파일을 열어줍니다.

$ sudo vi conf/server.xml

 

6. server.xml 하단부 Host부분에 Context를 추가한 후, 저장하고 vi를 종료합니다.

<Context path="" docBase="어플리케이션 위치/어플리케이션 이름" reloadable="false" ></Context>

 

저는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습니다.

/home/psw/tomcat/app의 디렉토리를 바라보는 톰캣으로 설정하였습니다.

 

7. 구동시킬 war파일을 server.xml에서 추가한 위치에 옮겨주시고 war의 압축을 풀어줍니다.

저는 war를 미리 풀어놓고 zip또는 tar로 만들어서 압축을 해제하고 있습니다.

풀린 tar(war파일)의 디렉토리 명을 app로 바꿉니다.

 

8. 톰캣을 시작합니다. (.bat파일은 윈도우에서 사용합니다.)

$ sudo ./bin/startup.sh

.sh파일로 시작과 종료를 제어합니다.

shutdonw.sh 는 톰캣을 종료할 때, 사용합니다.

 

9. 톰캣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동작 중인지 확인합니다.

$ ps aux | grep tomcat

 

 

톰캣 서비스 등록하기

톰캣을 종료 시작할때 매번 /tomcat/bin으로 가서 명령을 날리는게 번거롭거나 서버가 재시작되어도 자동으로 톰캣이 올라오도록 하려면 톰캣을 서비스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1. 서비스등록을 위해 파일을 생성합니다. (tomcat으로 서비스를 등록하겠습니다.)

$ sudo vi /etc/init.d/tomcat

 

2. vi창이 열리면 아래의 쉘명령문을 입력합니다.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tomcat
# Required-Start:  $remote_fs $syslog
# Required-Stop:   $remote_fs $syslog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auto start Tomcat server
# Description: start web server
### END INIT INFO

export CATALINA_HOME=/home/psw/tomcat/tomcat-8.5
case $1 in
    start)
        echo "start tomcat: "
	sh $CATALINA_HOME/bin/startup.sh
        ;;
    stop)
        echo "shutdown tomcat: "
        sh $CATALINA_HOME/bin/shutdown.sh
        ;;
    restart)
        echo "restart tomcat: "
        sh $CATALINA_HOME/bin/shutdown.sh;
        sh $CATALINA_HOME/bin/startup.sh
        ;;
    *)
        echo "usage: service tomcat {start|stop|restart}"
        exit 1
esac
exit 0

여기서 주의하실 곳은 CATALINA_HOME 변수값을 톰캣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해셔야 합니다.

 

톰캣 서비스 쉘 스크립트

저는 아까 톰캣을 생성한 위치로 지정했습니다.

 

3. 생성한 tomcat파일 권한을 변경합니다.

$ sudo chmod 755 /etc/init.d/tomcat

 

4. 서비스를 업데이트 합니다.

$ sudo update-rc.d tomcat defaults

 

5. 톰캣 서비스를 확인합니다.

$ sudo service tomcat status

 

6. 이제 서비스가 먹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service tomcat start -- 톰캣이 종료된 상태라면 start로 동작시킵니다.

$ service tomcat stop -- 톰캣이 시작된 상태라면 stop으로 종료시킵니다.

$ service tomcat restart -- 톰캣을 재시작하려면 restart 시킵니다.

 

이 후에는 우분투서버가 재부팅되어도 서비스가 동작중 인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opentutorials.org/module/516/5558

 

리눅스에 Java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기 - Java

환경 본 수업은 리눅스 배포판 중의 하나인 Ubuntu를 기준으로 진행한다. 자바를 다운로드 해서 설치하기 1. 운영체제의 종류를 파악한다.  file /sbin/init 2. 자바가 이미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java -version 위의 명령의 실행 결과 자바의 버전이 출력된다면 그냥 이것을 사용할지 새로운 버전을 설치할지 선택한다. 아마 오래된 운영체제가 아니라면 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새로운 자바를 설치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3. 기존

opentutorials.org

생활코딩님의 강좌를 참고해서 작성하였습니다.

 


JDK 1.8 tar 다운로드

우분투에 자바 1.8 jdk를 압축파일을 다운받아서 설치해보겠습니다.

 

SSH접속하여 설치한다고 생각하고 먼저 1.8 jdk부터 다운받도록 합니다.

tar 압축파일로 설치를 할 예정이므로 tar로 다운로드합니다.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javase-jdk8-downloads.html

자신의 OS에 알맞는 버전으로 다운로드합니다.

 

64비트 리눅스버전으로 다운로드했습니다.

 

이제 Ubuntu서버에 붙어서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putty를 활용했습니다.

 


우분투 접근하여 설정하기

서버에 접근하시면 기본적으로 자바가 설치되어 있을겁니다. openjdk~~

 

1. 자바가 설치되어있다면 설정된 버전이 나올 겁니다.

$ java -version

 

2. 이미 설치되어 있던 자바(openJdk)를 삭제하도록 합니다. (1.8로 설치예정)

$ sudo apt-get purge openjdk-\*

 

3. 삭제가 완료되면 이제 압축을 풀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mkdir - 디렉토리 생성)

$ sudo mkdir -p /usr/local/java

 

4. 생성한 디렉토리로 먼저 오라클에서 다운받은 자바 tar압축 파일을 옮겨줍니다.

> 저는 파일질라를 이용해서 옮겼습니다. 다른 디렉토리에 있다면 mv명령어를 통해 옮겨주도록 합니다.

파일질라로 압축파일 이동

 

5. 압축을 풀어줍니다. (tar xvf)

$ sudo tar xvf /usr/local/java/jdk-8u241-linux-x64.tar.gz

압축이 풀린 모습

 

6. 환경설정을 진행합니다. (/etc/profile)

$ sudo vi /etc/profile

 

7. 열린 vi창 맨 밑에 자바 환경변수를 등록하고 저장합니다.

export JAVA_HOME=$(readlink -f /usr/local/java | sed "s:bin/java::")

 

vi가 처음이신분들은 처음에 i를 입력하면 편집모드로 변경됩니다.

화살표 아래를 눌러서 맨 밑으로 오시고 위 export ~를 입력하신다음 esc 키를 입력 후

:wq! 를 입력하여 저장 종료를 합니다.

 

8. 자바 명령어를 등록합니다.

$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usr/local/java/jdk1.8.0_241/bin/java" 1;
$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c" "javac" "/usr/local/java/jdk1.8.0_241/bin/javac" 1;
$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ws" "javaws" "/usr/local/java/jdk1.8.0_241/bin/javaws" 1;

$ sudo update-alternatives --set java /usr/local/java/jdk1.8.0_241/bin/java;
$ sudo update-alternatives --set javac /usr/local/java/jdk1.8.0_241/bin/javac;
$ sudo update-alternatives --set javaws /usr/local/java/jdk1.8.0_241/bin/javaws;

 

9. 이제 자바 버전을 확인해봅니다.

$ java -version

1.8.0_241로 변경 설정된 모습

 

여기서 정상적으로 안보이는 경우 SSH접속을 다시 해보시고 명령어를 입력해보시고 그래도 동일하다면 위에서부터 중간에 경로가 틀린게 없는지 확인해주세요.

반응형